화상센터

급성화상 / 소아화상

화상이란?
불이나 뜨거운 물 등에 의해 피부세포가 파괴되는 현상으로
열에 가해진 시간, 강도 등에 따라 화상의 정도가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증상에 따라 1도에서 4도로 구분하며 화상을 입은 부위와 연령적인 요소를 고려합니다.

만약 전기화상이나 화학 물질에 의한 화상을 입은 경우에는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고 내부조직이나 장기의 손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보셔야 합니다.
화상 증상
1도 화상
ㆍ피부의 표면층만 손상된 상태
ㆍ피부는 붉게 변하지만 수포는 생기지 않음
ㆍ치유기간은 통상 3~5일 정도 소요되며 별다른 합병증이나 후유증 없이 완치 가능
2도 화상
ㆍ비교적 얕은 표재성 2도 화상과 깊은 심재소 2도 화상으로 구분
ㆍ2도 화상에는 물집(수포)가 생기고 통증이 심하므로 빠른 시일 내에 치료 권장
ㆍ방치하거나 검증되지 않은 민간요법 시행 시 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
3도 화상
ㆍ피부가 생기를 잃고 가죽처럼 되면서 피부의 괴사에 의해 감각이 없어짐
ㆍ신경말단이 파괴되어서 통증이 적음
ㆍ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상태이므로 의료진 진료 후 치료 진행
4도 화상
ㆍ치료가 어렵고 사망률이 높은 최악의 상황
위험요인
  • 1

    가스 밸브나 전기 콘센트의 차단 상태를 확실히 체크하는 습관을 갖도록 합니다.

  • 2

    술과 담배의 남용은 전 세계적인 주요 화재의 원인입니다. 금주와 금연을 생활화 하도록 합니다.

  • 3

    무더운 여름철의 경우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고 야외 활동을 삼가합니다.

  • 4

    겨울철 온열 제품(핫팩, 전기장판 등)을 피부에 직접 닿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5

    노트북을 다리에 올려서 사용하거나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소아화상의 특징

가정에서 아이들이 화상을 입게 되는 원인은 대부분 부주의로 인해 발생합니다. 아이들은 호기심이 많아 뜨거운 이유식이나 국물에 손을 넣기도 하고 다리미, 고데기를 손으로 잡는 등 위험한 행동을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소아는 성인보다 피부가 연하고 반응속도가 느려 더욱 깊고 넓은 화상의 위험이 큽니다. 만약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 성장기 아이들의 근, 골격 성장을 저해시키고 흉터가 깊어질 수 있으므로 병원에서 전문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응급처치 방법
  • 1뜨거운 액체로 옷이 젖은 경우에는 조심히 벗기거나 가위로 잘라냅니다.(열기를 없애기 위함)
  • 2화상 부위에 흐르는 시원한 물로 15~20분 정도 식혀줍니다.
  • 3단, 화상 부위에 얼음을 직접 대는 행동은 피해야 합니다.
  • 4살균붕대 또는 깨끗한 천으로 화상 부위를 감싸고 화상 전문병원에 방문합니다.
  • 5치약, 감자, 소주 등 검증되지 않은 민간요법은 통증과 흉터를 유발하므로 금지합니다.
소아화상 예방법
  • 1
    뜨거운 물건, 라이터 등은 아이들 손이 닿기 힘든 곳에 둡니다.
  • 2
    사용하지 않는 콘센트는 안전덮개로 차단합니다.
  • 3
    온열 제품 사용에 주의하고 아이들이 호기심에 손을 대지 못하게 합니다.
  • 4
    전열기구의 사용시 너무 뜨겁게 장시간 이용을 금합니다.
  • 5
    아이들과 같이 목욕 시 물 온도에 주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