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비

대장항문센터

변비란?
의학적으로 변비는 배변 횟수가 적거나 배변이 힘든 경우를 의미합니다.
배변이 3-4일에 한번 미만인 경우로 정의합니다.

변비는 전 인구의 5-20%가 증상을 호소할 만큼 매우 흔한 증상으로 연령이 증가하면 그 빈도가 증가합니다.
특히 남자보다는 여자에게 흔하게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원인
변비의 원인은 크게 다른 질환에 의해 이차적으로 증상이 발생한 경우와
명확한 원인 없이 대장, 직장의 운동기능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원발성 또는 기능성 변비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원발성 변비

원발성 변비는 크게 대변의 대장통과 시간이 지연되어 발생하는 서행성 변비와 대장통과 시간은 정상이지만 내항문괄약근이 이완되지 않는 등
항문 주위 근육의 협조장애(골반저 조율장애; dyssynergic defecation)로 인한 직장출구 폐쇄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정상인은 배변 시 힘을 주면 무의식적으로 골반저 횡문근이 이완을 하나 직장 출구 폐쇄증이 있는 환자는 이완 대신 오히려 수축을 하게 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항문근 실조(anal dyssynergia), 항문경(anismus) 또는 강직성 골반(spastic pelvic floor)이라고 합니다.


| 이차적 변비

변비증상이 이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주요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신질환에 의한 변비
- 갑상선 기능 저하증, 당뇨병

* 중추신경 질환이나 장을 지배하는 신경의 이상에 의한 변비
- 치매, 파킨슨병,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척추의 외상

* 대장, 직장, 항문, 골반저의 기질적인 병변에 의한 변비
- 유아의 항문폐쇄증, 항문협착증, 대장암, 평활근의 병변(근병중, 근이영양증 등), 직장탈(rectocele), 골반저의 약화, 직장 내 점막의 탈출(intrarectal mucosal prolapse), 전직장벽의 탈출(full-thickness rectal prolapse), 고립성 직장궤양 증후군(solitary rectal ulcer syndrome)

※ 변비를 일으키는 약제들 : 아편성분 진통제, 항경련제, 삼환계 항우울제 등
※ 변비를 일으키거나 조장시키는 정신적 질환들 : 우울증, 거식증 또는 대식증

치료
용인항유외과에서는 초음파와 항문기능 검사를 통해 보다 정확한 진단 후 증상에 맞는 맞춤 치료를 실시합니다.


01 배변 습관 교정 및 운동 요법

변은 정말 보고싶을 때 화장실에 가서 가급적 짧은시간(5분 이내)동안 봅니다. 변을 보기 힘들 때에는 발 받침대를 놓고 고관절을 굴곡시킨 상태에서 보면 도움이 됩니다.
복부 마사지, 두드리기 등이 도움이 되며 활동량이 적은 사람들은 운동을 권합니다.


02 식이 요법

식이 섬유는 체내에서 흡수되지 않고 수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섬유량이 많은 전곡류, 과일류, 채소류, 해조류 등의 섭취를 늘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03 약물 요법

위의 비약물적 요법에도 효과가 없다면 약물 치료를 병행합니다.
초기에는 팽창성 하제를 사용해 볼 수 있으며 효과가 없을 시 삼투성 하제나 염류성 하제를 사용하며 그래도 효과가 없다면 조심스럽게 자극성 하제를 사용해볼 수 있습니다.
장기간 사용 시 다른 부작용 발생 등으로 단기간만 사용합니다.

팽창성 하제 차전자씨, 메틸셀룰로우스, 폴리카보필 등이 있으며 식이성 섬유를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는 환자에게 유용합니다.
삼투성 하제 랄툴로오스와 락티톨 등이 있으며 효과는 복용 후 2~3일이 지나야 나타나며 복부 팽만과 방귀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염류성 하제 경도의 변비 환자에서 산화마그네슘(마그밀)은 효과적이고 비교적 안전합니다.
그러나 신기능 장애 환자와 아이들에게 고마그네슘 혈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자극성 하제 비사코딜과 센나, 알로에, 카스카라 등 안트라귀논 합성물이 대표적입니다.
자극성 하제는 변비 환자들이 가장 많이 남용하는 약제로서 장기간 사용시 수분과 전해질의 손실, 2차성 알도스테론증, 지방변, 서행성 변비 등 부작용과
약제에 대한 의존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합니다.


04 행동 요법 -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 훈련

항문 주위 근육의 수축, 이완 같은 생리적 과정을 기계적 장치를 통해 시각적, 청각적 신호로 변환시켜 보여줍니다.
환자에게 배변 시 작용하는 근육 운동의 문제점을 깨닫게 함으로써 수의적 조절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합니다.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항문 주위에 근육과 신경이 원활히 작용하지 않아 변보기 힘든 근실조성 배변 환자에게 효과적입니다.